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전교 41등 나옴 중1 인데 기말고사성적으로만 41등이 나왔어요 중간고사때는 24등이었는데 너무 낮게 나와서
전교 41등 나옴 image
중1 인데 기말고사성적으로만 41등이 나왔어요 중간고사때는 24등이었는데 너무 낮게 나와서 충격을 심하게 받았어요.. 저 진짜 대학교 못가면 어떡해요..? 기말고사 물론 남들도 열심히 했겠지만 저 진짜 공부 이렇게 열심히 해본거 태어나서 처음인데 매일 족보닷컴 같은것도 매일 꾸준히 어려운문제, 기본문제, 최다오답/진출로 진짜 열심히 풀고 오답노트도 꼼꼼하게 쓰면서 했는데.. 족보 외에도 영어, 수학은 학원 다니는데 수학이 80점대에요.. 그리고 시험2주 전이지만 인강도 저녁마다 듣고 필기하고 그랬는데.. 평균이 86밖에 안나왔어요 '뭐 1학년인데 나중에 더 열심히 하세요' 가 아니라 2학년 올라가서도 열심히 했는데 밑바닥에 남아있을까 걱정되요… 중학교 교사가 꿈이였는데, 아빠는 그정도 스펙이면 자랑도 못하고 좋은 대학교는 이미 물 건너갔다고 하는데.. 진짜 꿈을 포기해야 할까요? 이거 치면서 계속 눈물나오는데 공부법이 안 맞았던거 일까요 도대체 뭐가 문제였을까요.. 그냥 제 머리가 문제였을까요? 꿈은 진짜 포기해야할까요,,
보통 중학교 때 공부 열심히 하는 거 치고 점수 안 나오는 애들 보면 교과서는 거의 휘리릭 읽거나 보지도 않고 간단히 정리된 요약 또는 문제집 개념 정리만을 보거나 아예 문제부터 잡아요.
고등학교 때는 교과서를 너무 오래 잡고 있으면 문제 풀 시간이 부족해 적당히 조절해야하지만
중학교 시험은 거의 다 교과서+프린트에서 나오기 때문에 한 자도 빠뜨림 없이 외워야 합니다.
그게 완벽히 되면 문제를 풀어보는 거고요.
물론 문제를 너무 적게 풀어서도 안되겠지만
교과서와 프린트 암기는 필수적입니다.
제가 중학교에서 문제는 많이 안 풀어도 시험 항상 90점대 후반으로 나오던 게 이 이유였다고 생각해요.
중학교 첫 시험, 즉 2학년 1학기 중간에서는 전교 1등을 했고요.
중위권 친구들이 공부법 물어보면 저는 교과서 외운다고 밖에는 알려줄 게 없었고요. 따로 정리를 하는 것도 아니고...
네. 여러번 보고, 교과서 측면의 아주 작은 글씨까지 보고, 통째로 외우세요. 이해하는 건 당연한 거고요.
그 다음에 서술형을 직접 만들어 써보고, 어려운 객관식, 서술형 문제를 푸세요.
시험 직전엔 문제 풀기 말고 교과서+프린트+문제 풀면서 적어놓은 필기 를 전체적으로 재암기 하고요.
제가 알려드린 방법이 정답은 아니나 상위권 아이들이 교과서 암기 안 하는 경우는 드물어요.
아직 2년 남았으니 공부습관 만들어 가세요.
고등학교에서는 시간이 부족해서 문제 다 못 푸는 경우가 허다하니까 마지막에는 시간 재고 문제 풀어보기도 하고요.
그리고 시험 기간 아닌 평소 공부를 어떻게 하고 계신지는 모르겠지만
특목고/과고 가기 위해선 고등학교 수과학 선행 거의 필수입니다.
일반고 진학 후 메디컬 및 인서울 하기 위해서도 마찬가지고요.
수과학 선행 하세요.
하면 할 수록 그 과목을 보는 시야가 넓어집니다.
헷갈리는 기본 개념도 할 수록 바로잡히고요.
더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질문해주세용.
채택되어 받는 해피빈은 기부에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