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보수사상에 대하여 보수주의의 경우 안정된 사회를 추구하는데 왜 지금 보수주의자들은 자유민주주의를 외치는
보수주의의 경우 안정된 사회를 추구하는데 왜 지금 보수주의자들은 자유민주주의를 외치는 건가요? 민주주의까진 알겠는데 자유를 붙이는 게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요보수에서 추구하는 안정된 사회를 유지하려면 정부의 역할이 커져야 하고 큰정부를 지지해야 하지 않을까요?근데 왜 작은 정부를 지지하며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나요? 제가 볼 땐 이건 진보쪽에서 지지해야 할 것 같은데요
과거뿐 아니라 오늘날 한국에서 일컫는 "자유민주주의"는 엄밀히 말하면, '냉전자유주의(Cold War Liberalism)'입니다. 냉전 시대 미국과 친미 국가 진영에서 소련, 중국, 북한 등을 대적하기 위해 국가 공권력이 자국 국민의 권리를 제한하고 사상을 통제하는 것을 정당화, 합리화하는 사상입니다. 즉 소련, 중국, 북한 등에서 말했던 "인민민주주의"가 실제로는 사람과 백성을 위하는 민주주의가 아닌 일당 독재를 합리화하는 사상이었듯이, 미국, 일본, 남한에서 말해온 "자유민주주의"는 실제로 자유와 민주주의가 아닌 국가 공권력이 국민을 통제하는 것을 합리화하는 사상입니다. image 냉전자유주의
冷戰自由主義 / Cold War liberalism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 이라는 세계적 정세 속에서
namu.wiki image 냉전의 시대, 다원적 가치 옹호한 자유주의
3부. 냉전과 자유주의의 재구성 7. 존 메이너드 케인스: 수정자본주의 8.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 국가에 대한 공포에서 신자유주의로 9. 이사야 벌린: 자유 민주주의 10.한나 아렌트: 근대적 인간 조건 속에서의 자유 11.존 롤스: 자유주의의 철학적 정당성 이사야
www.hani.co.kr image ‘냉전자유주의’와 한국 정치의 ‘탈자유주의적’ 전환 - 이승만과 박정희를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2018, (59), 106
www.kci.go.kr image 냉전과 일본의 자유주의 : 마루야마 마사오의 냉전자유주의와 리얼리즘 | DBpia
장인성 | 동북아역사논총 | 2018.3
www.dbpia.co.kr image 전후 자유주의의 반(反)극단주의적 전통에 관한 연구: '냉전 자유주의' 담론 및 이사야 벌린의 사상을 중심으로 | DBpia
김민혁, 조대근 | 현대정치연구 | 2024.8
www.dbpia.co.kr image 자유주의의 이념ㆍ현실ㆍ기풍 - 대학지성 In&Out
■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제1강_ 최장집 고려대 명예교수의 「자유주의의 이념ㆍ현실ㆍ기풍」네이버문화재단의 아홉 번째 시리즈 ‘자유와 이성’ 강연이 매주 토요일 서울의 네이버 스퀘어 종로에서 진행되...
www.unipress.co.kr image 계엄으로 최후 맞은 윤석열과 냉전자유주의 - 더칼럼니스트
▶ 유튜브로 칼럼 듣기 냉전자유주의자들의 무능과 오판윤석열 대통령의 12.3 계엄발동은 일단 실패했다. 이를 저지한 일등 공신은 시민들이다. 시민들이 맨몸으로 나서 6시간 만에 계엄발동을 저지한 사례는 세...
www.thecolumni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