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려들이 노동을 했다고 해서 노동에 대한 부처님의 견해를 알고 싶어요.'삶에서 어떤 것이 우리를 힘들게 하는 것은 그것에 대한 생각 때문'이라는 값으로 따질 수 없는 교훈을 나는 일찍이 태국 북동부에서 승려 생활을 하던 초기 시절에 배웠다.당시 아잔 차 스승은 절에 새 법당을 짓고 있었다. 우리 수행자들 대부분이 그 공사에 달려들어 있었다. 아잔 차 스승은 수행자는 단지 한두 병의 콜라를 마시기 위해서도 하루 종일 뼈 빠지게 일을 해야 한다고 역설하곤 했다. 어찌 됐든 그것은 절 측으로선 마을의 인부들을 고용하는 것보다 훨씬 싸게 먹히는 일이었다. 가끔 나는 신참 수행자들을 위해 노동조합을 결성할까 하는 생각을 한 적도 있었다.새 법당은 수행자들이 쌓아올린 둔덕 위에 세워졌다. 그런데 둔덕을 쌓고 남은 흙이 아주 많았다. 그래서 아잔 차 스승은 우리 수행자들을 불러 모아 놓고 말했다. 그 남은 흙을 전부 법당 뒤로 옮겨 놓으라고.그 다음 꼬박 사흘 동안 우리는 오전 10시부터 날이 어두워질 때까지 삽과 외바퀴손수레를 동원해 그 거대한 양의 흙을 정확히 아잔 차 스승이 지목한 장소에다 옮겨 놓았다. 일이 끝나자 나는 무척 기뻤다.다음 날 아잔 차 스승은 며칠간 다른 절을 방문하기 위해 떠났다. 그가 떠난 뒤 부주지가 우리 수행자들을 불러놓고 말했다. 흙이 잘못된 장소에 옮겨졌기 때문에 다시 옮겨야 한다는 것이었다.어이가 없었지만 불평에 찬 마음을 간신히 가라앉히는 수밖에 없었다. 우리 모두는 열대 지방의 무더위 속에서 또다시 사흘 동안을 힘겹게 흙을 옮겼다.두 번째로 흙더미 옮기는 작업을 막 끝났을 때 출타했던 아잔 차 스승이 들어왔다. 그는 우리 수행자들을 불러놓고 큰 소리로 호통을 치며 말했다.“왜 흙을 이곳에다 옮겨 놓았는가? 내가 흙을 저 장소에다 옮기라고 말하지 않았는가? 빨리 저 곳으로 옮기도록 하라.”나는 화가 났다. 그것도 걷잡을 수 없이.‘고참 승려들끼리 먼저 잘 의논해서 결정할 수도 있지 않은가? 불교는 이런 주먹구구식이 아니라 체계화된 종교여야 한다. 그런데 이 절은 전혀 체계가 잡혀 있질 않아서 흙더미 하나를 어디로 옮길지조차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똥개 훈련시키는 것도 아니고 말이야....’또다시 3일 동안 우리는 말 그대로 허리가 휘도록 일해야만 했다. 무거운 흙더미를 채운 외바퀴 수레를 밀면서 나는 태국 수행자들이 알아듣지 못하도록 영어로 욕설을 퍼부었다. 이건 도무지 말도 안 되는 일이었다. 언제가 되어야 이런 비합리적인 일들이 사라질 것인가?나는 서서히 깨닫기 시작했다. 내가 화를 내면 낼수록 외바퀴 수레가 더 무겁게 느껴진다는 것을.그때 동료 수행자 중 한 명이 내가 투덜거리는 것을 보고 내 쪽으로 걸어와서 말했다.“당신의 문제는 당신이 너무 생각을 많이 한다는 것입니다.”그의 말이 옳았다. 불평과 투덜거림을 멈추자 외바퀴 수레를 밀기가 훨씬 가벼워졌다. 나는 큰 교훈을 배웠다. 흙 옮기는 일을 생각하는 것이 마음을 가장 힘들게 했고, 실제로 그 일을 하는 것은 그다지 힘든 일이 아니었다.지금에 와서 돌이켜 보면 아잔 차 스승과 부주지가 처음부터 짜고서 우리에게 몇 차례나 흙더미를 옮기게 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떨쳐 버릴 수가 없다. (술취한 코끼리 길들이기 2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