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귀 트이는게 뭔가요? 일본어를 듣고 한국어로 번역을해서 이해를 하는게 아니고 일본어를 저희가 한국어를
일본어를 듣고 한국어로 번역을해서 이해를 하는게 아니고 일본어를 저희가 한국어를 들을때처럼 일본어 그 자체로 이해가 되는건가요..? 이러면 제대로된 해석은 안되지만 뭔얘기를 하는지는 알게되는건가요..? 어떻게 귀가 트일수있을까요ㅠㅠ 애니를 아무리봐도 간단한것만되고 긴건 단어를 모르니까 해석이 안되는데…
아무래도 귀에 들어오는 건 비교적 많아진다는 의미가 되시겠죠~? ^^
제대로 된 공부를 한 상태에서 듣는 게 아니기 때문에
100% 완벽하게 들리는 건 일단은 아니죠 ^^;;;
듣다보면 전형적인 문구 같은 게 시간이 지남에 따라 " 유추 " 가 된다는 그런 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도 어느정도는 알아듣는 그런 정도라고 봅니다.
일본어 공부를 " 본격적 " 으로 하기에 앞서,
JLPT의 " 청해 " (듣기) 파트는 보험으로서 써먹으실 수 있고,
" 단어 " 외우는 걸 정말 무지 극혐합니다.
이런 식으로 사고의 전환을 하는 것도 나쁘진 않겠죠?
그만큼 캐치할 수 있는 게 많아질테니 오히려 이렇게 생각하고 단어 외우시면 더 의욕적으로 변하지 않을까요??
애니를 본다고 귀가 트인다는 건 전 회의적인 파입니다.
그리고 정말 일상 생활에 쓰이는 표현이나 단어 같은 것도 많이 다루고 있으니,
드라마 쉐도잉이나 영화 쉐도잉 같은 걸 컨텐츠로 잡으시는 분들도 상당히 많으십니다.
100% 다는 제대로 된 공부를 하지 않으면 " 불가능 " 하기 때문에,
어느정도 들었을 때 대강 무슨 얘기하는지 정도 유추하면 그게 귀가 트인다는 것이죠.
매체는 귀 트이기 용을 우선 순위 삼으시기보단,
일본어 공부에 대한 " 흥미 돋구기 " 용으로 일단 쓰시면서 점점 들어서 " 들은 경험 " 의 기간을 늘려가시는 쪽으로 가세요!
라는 다짐을 가지고 가는 건 헤비하기 때문에,
열정이 과하면 대사도 읊어보고 이러면 문장이 머릿속에 선명해질거고,
이런 " 유형 " 의 문장들이 생각해보니까 (대개는 뇌 빼고 그냥 듣잖아요~)
의외로 있네~ 이렇게 느린 속도로 생각까지 하면서 가면 (대신에 분량을 많이 가지고 가면 이 또한 헤비해지겠죠~?)
어느정도 베이스를 잡은 상태에서 대화를 하면서 알아가는 그런 과정이 듣기엔 가장 좋다고 생각되어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