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2030 여자분들 입장에서 어떻게 풀 마라톤을 뛰지만. 아무리 2030 여자 중에서 좀 몸 쓰는게 좋게 태어나서 달리기를
아무리 2030 여자 중에서 좀 몸 쓰는게 좋게 태어나서 달리기를 풀마라톤 뛴다고 해도3대중량 3대500 아니 400조차 만드시는 분은 왜 없는걸까요?여자의 몸으로 체력 지구력은 그 극한까지 가면 노력하면 도달할 수 있지만 근력 3대400~500 도달하는건 거의 불가능인가봐요?체력과 근력 강한 남자분은 3대500과 풀 마라톤 모든게 가능하죠.근데 여자는 좀 3대중량에서 엄청 약해지나봐요?
질문 주신 내용 공감해요. 저도 운동하면서 비슷한 궁금증을 느낀 적이 있거든요.
“왜 여자분들은 풀마라톤은 뛰는데, 3대 400~500kg까지는 잘 못 가실까?” 하는 부분은 생리학적 차이와 훈련 목적 때문이라고 보시면 이해가 쉽습니다.
✔ 1. 선천적인 근육량 차이
남성은 평균적으로 여성보다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10배 이상 높습니다. 이 호르몬이 근비대(근육 커짐)와 최대 근력 발달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같은 훈련을 해도 남성이 훨씬 빠르게 무게를 올릴 수 있어요. 그래서 여성은 풀마라톤 같이 ‘지구력’은 꾸준한 훈련으로 극한까지 끌어올릴 수 있지만, ‘순수 최대 근력’은 호르몬적 한계 때문에 3대 400~500까지 가는 사례가 거의 없는 거죠.
✔ 2. 종목 특성의 차이
풀 마라톤은 심폐 지구력과 근지구력 위주라서 체형이나 성별 차이가 있어도 훈련으로 일정 수준까지는 누구나 도달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3대 중량(벤치·스쿼트·데드리프트)은 전적으로 ‘근육의 크기와 힘’이 요구되는데, 여기서 남녀 차이가 확실히 크게 벌어집니다.
✔ 3. 실제 여성 파워리프터 기록
세계 여자 파워리프팅 선수들도 체급·체중 대비로 보면 놀라운 기록을 세우지만, 절대 중량은 남자 엘리트 선수보다 훨씬 낮습니다. 예를 들어 국제 대회 우승자들도 3대 합산이 400kg을 넘기면 ‘세계 톱 클래스’라고 불려요. 즉, “불가능”이라기보다는 “매우 드문 상위권 엘리트에서만 가능한 기록”인 거죠.
✔ 4. 결론적으로
여성분들이 풀마라톤은 많이 도전하시는 반면, 3대 400~500까지 끌어올리는 건 호르몬·체형적 한계와 훈련 목적 차이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여성이 약하다는 의미는 아니고, 체력은 지구력·근력·스피드 각각의 특성이 다르다는 점으로 이해하면 더 맞을 거예요.
저도 주변에서 마라톤 뛰는 여성분들은 많이 봤는데, 파워리프팅 대회에 나가는 여성분은 정말 드물더라고요. 결국 “어떤 운동에 집중하느냐”와 “체질적 특성”이 다르게 작용하는 거라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