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일본어 영화 대사 가르쳐주세요! 俺わよ、痛々しくてお前の顔よう見とれんわ。물에 빠진 나이프에 나오는 대사 입니다! 해석은 난 말야, 애처로워서

俺わよ、痛々しくてお前の顔よう見とれんわ。물에 빠진 나이프에 나오는 대사 입니다! 해석은 난 말야, 애처로워서 네 얼굴을 잘 못봐. 라고 해석 한다는데 이걸로 일본어 시간 피피티 과제를 만들었습니다. 단어 뜻 해석하고 일본어 쌤이 사투리랑 회화체? 그게 섞여있다고 해서 발표에 같이 소개하고 싶은데 어떤건지 알려주실 일본어 장인분들 도와주세요.!!!
질문자님이 준비하신 해석 방향이 이미 꽤 정확합니다. 다만 영화 대사가 구어체(특히 간사이 방언 느낌)라서 일본어 수업 PPT에서 소개할 때 몇 가지 포인트를 짚어주시면 훨씬 알차게 발표할 수 있을 거예요.
먼저 대사 원문을 보겠습니다.
俺わよ、痛々しくてお前の顔よう見とれんわ。
1. 俺(おれ)
표준어: 나.
남성적인 1인칭. 친한 사이, 혹은 거친 말투에서 흔히 씀.
2. わよ
표준어에서는 여성적 뉘앙스가 강한 문말사(예: そうだわよ).
그런데 간사이 사투리나 젊은 남자 말투에서는 억양에 따라 가볍게 강조·감정 표현으로도 씀. 영화 속에서는 “강조 + 구어체”의 느낌.
3. 痛々しい(いたいたしい)
보고 있기가 안쓰럽다, 애처롭다, 마음이 아플 정도다.
여기서는 상대방이 너무 힘들어 보이니 직시하기 힘들다는 뉘앙스.
4. 〜て
접속형. "痛々しくて" → “애처로워서”.
5. お前(おまえ)
너.
친근하면서도 다소 거친 느낌.
6. 顔(かお)
얼굴.
7. よう見とれん
여기가 사투리 + 회화체의 핵심.
표준어: よく見ていられない (차마 잘 볼 수 없다).
간사이 사투리 특징: “よく(잘)”을 “よう”라고 발음.
“見とれん”은 표준어로 하면 “見ていられない” (볼 수 없다). “〜れん” 역시 간사이 방언에서 부정형으로 많이 씀 (표준어의 “〜ない” 자리에 대응).
8. わ (문장 끝)
간사이 방언에서 문말에 “わ”를 붙여 부드럽게 강조.
여기선 남성 말투인데도 사용 → 캐릭터 특유의 구어적 느낌 살림.
---
정리하면
표준어로 바꾸면:
俺はな、痛々しくてお前の顔よく見ていられないよ。
→ "난 말야, 안쓰러워서 네 얼굴을 차마 못 보겠어."
PPT에 넣을 포인트
구어체: “俺, お前” 같은 친근하고 거친 1인칭·2인칭.
사투리:
“よく” → “よう” (간사이 방언 특징)
“〜ない” → “〜れん” (부정 표현의 방언형)
문장 끝 “わ” (강조/감정)
표현의 뉘앙스: 단순히 "못 본다"가 아니라, 상대가 너무 애처로워서 눈길을 주기 힘들다는 감정이 담겨 있음.
---
즉, 이 대사는 표준어 + 간사이 방언 + 구어체가 섞인 표현이라서, 발표에서 "사투리와 회화체의 특징이 함께 드러난 대사"라고 소개하시면 딱 알맞습니다.
채택 부탁드립니다. "채택" 해주시면 보다 좋은 답변을 다는데 힘이 됩니다.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