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센스로 일 500달러/월 15,000달러 정도 벌면 세금을 어느 정도 납부해야되나요?
애드센스 수익은 국내에서 '사업소득'으로 분류되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됩니다. 여기에 지방소득세가 추가로 붙습니다. 또한, 사업자등록 여부에 따라 부가가치세 납부 의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종합소득세: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세금입니다. 애드센스 수익은 사업소득으로 간주되어 다른 소득(근로소득, 기타소득 등)과 합산하여 종합소득세율에 따라 과세됩니다.
* 지방소득세: 종합소득세액의 10%가 지방소득세로 추가됩니다.
* 부가가치세 (VAT): 사업자등록을 한 경우, 국내 광고 수익에 대해 10%의 부가가치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하지만 구글 애드센스의 해외 광고 수익(대부분의 유튜브, 블로그 수익)은 영세율(0%)이 적용되므로, 부가가치세 납부 의무는 없습니다. 다만, 사업자등록을 하고 영세율로 신고함으로써 매입세액 공제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총 수입금액: 월 $15,000 (약 2,050만원, 1달러 = 1,367원 가정) 이므로, 연간 총 수입은 $15,000 * 12개월 = $180,000 (약 2억 4,606만원) 입니다.
* 필요경비: 세금은 총 수입에서 필요경비를 제외한 소득금액에 대해 부과됩니다. 필요경비는 애드센스 수익 활동과 관련하여 지출된 비용(예: 인터넷 요금, 컴퓨터 구매비, 소프트웨어 구독료, 촬영 장비, 편집 프로그램 사용료 등)을 의미합니다.
* 장부 작성: 실제 지출된 경비를 증빙하여 장부를 작성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복식부기 또는 간편장부)
* 경비율: 장부 작성이 어려운 경우, 국세청에서 정한 경비율을 적용하여 소득금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 단순경비율: 연간 수입이 일정 금액 이하(업종별 기준 다름,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의 경우 2021년 귀속 기준 4천만원 이하)인 경우 적용됩니다. 단순경비율이 높게 책정되어 실제 경비가 적더라도 많은 경비를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 기준경비율: 단순경비율 적용 대상이 아닌 경우 적용됩니다. 단순경비율보다 경비 인정률이 낮습니다.
정확한 세금은 본인의 다른 소득 유무,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항목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지므로 세무사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여기서는 애드센스 수익 외 다른 소득은 없고, 인적공제(본인 1명)만 있는 경우를 가정하여 대략적인 종합소득세를 계산해보겠습니다.
* 연간 애드센스 총 수입: $180,000 (약 2억 4,606만원)
* 사업자등록을 하고 애드센스 수익을 사업소득으로 신고하는 경우 (대부분의 경우 해당)
* 2025년 종합소득세율 기준 (2024년 귀속 소득에 적용)
시나리오 1: 단순경비율 적용이 어려운 고소득이므로, 장부 작성 또는 기준경비율 적용
연간 소득이 2억 4천만원 이상이므로, 단순경비율 적용은 어렵습니다. 장부를 작성하여 실제 경비를 인정받는 것이 가장 유리합니다. 만약 경비율을 적용해야 한다면 기준경비율이 적용될 것입니다.
필요경비율을 40% (개략적인 추정치, 업종 및 실제 지출에 따라 다름)로 가정할 경우:
* 필요경비: 246,060,000원 * 40% = 98,424,000원
* 종합소득금액: 246,060,000원 - 98,424,000원 = 147,636,000원
* 과세표준: 종합소득금액 - 소득공제 (본인 기본공제 150만원 + 기타 소득공제)
* 최소 과세표준 (본인 기본공제만 가정): 147,636,000원 - 1,500,000원 = 146,136,000원
* 종합소득세율 (2025년 기준, 2024년 소득분):
* 1억 5,000만 원 초과 ~ 3억 원 이하: 38% (누진공제 1,944만 원)
* 질문자님의 과세표준 146,136,000원은 '8,800만원 초과 ~ 1억 5,000만원 이하' 구간에 해당하며 세율 35%가 적용됩니다.
* 산출세액: (146,136,000원 × 35%) - 15,440,000원 (누진공제)
* 51,147,600원 - 15,440,000원 = 35,707,600원
* 지방소득세: 35,707,600원 * 10% = 3,570,760원
* 총 예상 세금 (종합소득세 + 지방소득세): 35,707,600원 + 3,570,760원 = 39,278,360원
* 위 계산은 매우 단순화된 예시이며, 실제 납부할 세금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실제 필요경비를 최대한 많이 인정받는 것이 세금을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관련 증빙 자료를 잘 보관해야 합니다.
*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항목(예: 연금저축, 기부금, 신용카드 사용액, 주택 관련 공제 등)에 따라 세금이 크게 줄어들 수 있습니다.
* 개인사업자등록을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부가가치세 영세율 적용으로 매입세액 공제도 가능하며, 세무 관련 업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세무 전문가와 상담: 애드센스 수익이 이 정도로 높다면, 반드시 세무사 등 세금 전문가와 상담하여 본인의 상황에 맞는 정확한 세금 계산과 절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결론적으로, 애드센스로 월 15,000달러 정도의 고수익을 올리신다면, 연간 수천만원 단위의 세금을 납부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문 세무 상담을 통해 체계적인 세금 관리를 시작하시는 것을 강력히 권해드립니다.